본문 바로가기

화이트 와인22

게뷔르츠트라미너 와인의 맛의 특징과 푸드 페어링 오늘 포스팅은 게뷔르츠트라미너 와인의 맛의 특징과 푸드 페어링입니다 함께 알아봅시다 게뷔르츠트라미너 Gewürztraminer 강렬한 꽃 향기로 유명한 게뷔르츠트라미너는 알프스 산기슭과 보주 산맥 Vosges Mountains에서 수세기 동안 번성해 왔습니다. 달콤한 향이 나지만, 대부분 드라이 하고 심지어 나이가 들수록 고소한 면을 보이기도 합니다. 다른 이름으로는 게부르즈트라미너, 로터트라미너, 트라미나크 라고 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맛의 특징 리치, 로즈, 자몽, 귤, 생강, 중간이상의 당도의 오프 드라이, 미디엄 바디, 탄닌 없음, 낮은 산도, 13.5~15% 알코올도수 게부르츠트라미너는 모스카토가 어른으로 자란 버전과 같습니다. 다양한 스타일을 지닌 매우 향긋하고 강렬한 포도입니다. 대부분 열.. 2024. 3. 18.
리슬링 Riesling 와인의 맛의 특징과 푸드 페어링 오늘 포스팅은 리슬링 Riesling 와인의 맛의 특징과 푸드 페어링입니다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리슬링 와인 본드라이 와인부터 매우 달콤한 와인까지 다양한 스타일의 화이트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향기로운 화이트 품종입니다. 리슬링을 생산하는 세계적인 국가는 독일입니다 맛의 특징 라임, 그린 애플, 밀랍, 재스민, 석유, 중간이상의 당도의 오프드라이, 탄닌 없음, 높은 산도, 알코올도수 10% 이하 리슬링 와인 마시는 법 3~7도로 제공, 화이트 와인 글라스, 디캔팅 필요 없음 , 샐러에서 10년 이상 보관 가능 푸드 페어링 오프 드라이 리슬링 와인은 인도와 아시아의 매운 음식과 잘 어울리며 오리, 돼지고기, 베이컨, 새우, 게 등 과 아주 잘 어울립니다. 2024. 3. 15.
믈롱 드 부르고뉴 와인의 맛과 푸드 페어링 오늘 포스팅은 믈롱 드 부르고뉴 와인의 맛과 푸드 페어링입니다 함께 알아봅시다 믈롱 (멜론) Melon 와인 믈롱(멜론Melon) 또는 믈롱 드 부르고뉴(멜론 드 부르고뉴 Melon de Bourgogne)는 프랑스 무스카데(Muscadet) 지역의 포도로, 해산물과 잘 어울리는 린스타일, 미네랄이 풍부하며 염분이 많은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합니다. 일반적인 맛의 특징 라임, 조개껍질, 그린애플, 먹는 배, 빵 반죽, 매우 드라이, 라이트 바디, 탄닌 없음, 높은 산도, 10~ 11.5% 알코올도수 마시는 방법 3~7도에서 제공, 화이트 와인 글라스, 디캔팅 필요 없음, 셀러에서 3~5년 보관가능 푸드 페어링 해산물과 잘 어울립니다. 약간의 마늘, 파슬리, 버터, 무스카데를 약간 넣은 팬에 조개나 홍합을 .. 2024. 3. 14.
소아베 와인의 맛의 특징과 푸드 페어링 오늘 포스팅은 소아베 와인의 맛의 특징과 푸드 페어링입니다 함께 알아봅시다 소아베 (Soave) 와인 소아베는 이탈리아 북부 소아베의 중세 마을 주변에서 재배된 가르가네가(Gar-GAN-Nehgah) 포도로 만든 백포도주입니다. 소아베 와인은 멜론과 오렌지 맛이 가장 좋을 뿐만 아니라 숙성될수록 향이 좋아지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맛과 향 소아베 와인의 가장 일반적인 맛은 피치, 허니듀, 시트러스 제스트, 스위트 마조람, 은은한 짠맛입니다. 소아베는 소비뇽 블랑이나 피노 그리처럼 드라이하고 가벼운 바디감의 와인이지만, 약간의 펀치감을 더해주는 부드럽고 기름진 듯한 풍부함을 갖고 있습니다. 더 저렴한 소아베 Soave 와인은 녹색의 쓴 아몬드 피니쉬를 갖고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오래된 .. 2024. 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