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빈대4

여행, 숙박시설, 다중이용시설 빈대 예방 오늘 포스팅은 여행, 숙박시설, 다중이용시설 빈대 예방에 대해 공유해봅니다. 빈대 예방 -빈대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물품을 함부로 가정으로 가져오기 않기 -중고 가구 등을 집으로 들일 때 빈대의 흔적을 주의 깊게 확인 -여행 중 빈대에 경험이 있으면, 여행용품에 대한 철저한 소독이 필요 * 밀봉하여 장시간 보관하거나, 직물류는 건조기에 처리 등 -빈대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방바닥 또는 침대에 짐 보관 지양 여행객 빈대 예방 여행 중 빈대의 확산을 억제하는 방법 - 수화물 내 빈대의 출입 가능성을 최소화 - 업소 내 매트리스 및 빈대 서식 장소를 철저히 검사 - 복귀 시 수화물 및 의복의 오염 제거 개인 소지품 주의 사항 - 여행 전 자신의 소지품이 빈대에 감염될 가능성을 항시 인지할 것 - 여행 중 .. 2023. 11. 19.
빈대 비상 빈대 퇴치법은? 오늘 포스팅은 빈대 비상 빈대 퇴치법은? 에 대해 공유해봅니다. 빈대 발견 시 방제 방법 - 오염된 매트리스, 가구 등은 방제 후 재사용 여부 판단 * 모든 빈대가 제거될 때까지 커버 유지 - 오염된 물품 폐기 시, 반드시 방제 후 폐기 * 방제 없이 폐기 시, 빈대가 새로운 장소로 확산 및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 방제 후, 정기적으로 서식장소에서 빈대 유무 확인 -다가구, 숙박업소 등 오염장소 주변으로 동시에 방제 진행 -방제 실시 7~10일 후에 확인 및 추가 방제 실시 물리적 방제 스팀 고열을 빈대가 서식하는 가구 틈과 벽 틈에 분사하여 방제 - 카펫은 살충제 처리 전 스팀 청소 - 벽에 맞닿아 있는 카펫, 침대(특히, 침대의 머리맡 부분)는 반드시 방제 청소기의 흡입력을.. 2023. 11. 18.
혹시 집에 빈대가 있을까? 빈대 찾는 방법 오늘 포스팅은 혹시 집에 빈대가 있을까? 빈대 찾는 방법 공유해 봅니다. 가정에서 빈대 찾는 방법 빈대는 주로 야간에 수면 중인 사람을 흡혈하기 때문에 침대 등 사람이 잠을 자는 위치와 가까운 곳에 주로 서식합니다. -침대헤드, 매트리스 및 베개 시접 부분, 이불 이음새, 침대 스프링 및 프레임 틈새, 주변 가구, 협탁(탁자), 소파 틈새, 갈라진 벽면, 창틀, 콘센트 주위, 벽에 걸린 액자 뒷면, 바닥과 벽면이 맞닿는 곳의 갈라진 틈새, 커튼 사이, 카펫 등 흡혈할 때만 잠시 나타나고 흡혈 후 어두운 곳에 숨음 깊이 숨어 있는 빈대를 직접 확인하는 것은 매우 힘듭니다만, 빈대의 부산물(탈피허물)이나 배설물과 같은 흔적을 찾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침대의 매트리스 패드를 들어 올리고 침대 모서리나 커버의.. 2023. 11. 17.
빈대에 물리면 증상은 어떤 것이 있을까? 오늘 포스팅은 빈대에 물리면 증상은 어떤 것이 있을까? 알아보도록 해요 코로나 19 이후 급격히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고 또한 해외여행을 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한국에서 근절된 걸로 알고 있던 빈대가 급격히 출몰하면서 비상이 걸렸어요. 주로 해외유입이 많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외국인 출입과 더불어 여행지에서 묻어 들어온 빈대로 인해 급격하게 발견사례가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빈대 성충은 약 5~6 mm, 사과 씨처럼 상하로 납작하게 눌린 타원형이며 진한 갈색을 띤 해충입니다. 암수 모두 1주일에 1~2회 흡혈하며, 10분간 몸무게의 2.5~6배 흡혈, 하루 2~5개의 알을 2~3일 간격으로 낳아 일생동안 약 200개 산란하는데, 성충의 수명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합니다. 성충과 약충의 습성은 유사하고,.. 2023.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