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는 참 많고, 다양한 술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위스키에도 다양한 종류의 위스키가 있다는 걸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저번시간에 이어 다양한 위스키의 종류 중 미국에서 만들어지는 위스키인 버번위스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본 위스키는 켄터키 주 남부에서 주로 생산되는 미국 위스키입니다. 가끔 미국에서 생산된 모든 위스키를 묶어서 사용하는 표현으로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버번위스키
미국 무역법에 따르면, "버본"은 위스키의 한 종류로, 위스키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곡물의 조리법인 "매쉬빌"이 51% ~80%의 옥수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증류할 때 옥수수 함량을 약 70%로 사용하며, 매쉬빌의 나머지는 다른 곡물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되는 곡물의 종류는 위스키의 스타일과 맛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버번이라는 단어를 라벨에 붙이기 위해서는 증류소가 따라야 하는 구체적인 지침이 있습니다.
과정 - 대부분의 버번은 사워 매쉬로 시작합니다. 매쉬(발효 과정을 거치는 으깬 곡물)에서 추출되어 하룻밤 사이에 신맛으로 바뀐 다음 새로운 배치에 추가됩니다. 그 과정은 사워도우 빵을 만드는 것과 매우 비슷합니다.
레시피 - 버번은 으깬 곡물, 효모, 물이 발효된 것으로 증류됩니다."매쉬 빌"은 최소 51%의 옥수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버본의 평균은 약 70%입니다. 호밀, 맥아 보리, 밀과 같은 다른 곡물들은 "풍미"를 내는 곡물로 이용됩니다.
숙성 기간 - 버번은 최소 2년 이상 숙성되어야 합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많은 프리미엄 버번위스키들은 5년에서 12년 사이이며, 어떤 것들은 27년(이러한 것들은 좀 비쌉니다)이나 되기도 합니다.
배럴 - 버번은 화이트 오크로 만들어져 내부가 검게 그을린 새 오크통 (새로 만든 배럴)에서 숙성되어야 합니다. 브랜드는 배럴당 1에서 4까지 다양한 수준의 차르(내부를 검게 그을린 정도)를 결정합니다.
향미 – 법에 따라 병에 넣을 수 있는 것은 물 이외에는 없습니다. 맛을 돋우거나 단맛을 더하거나 색을 바꿀 수 있는 어떤 것도 첨가되지 않았습니다.
알코올도수(proof) - 버번은 80(알코올도수 40)에서 125 (62.5도) 사이의 proof(알코올도수)로 병에 담겨 있습니다. 알코올 도수를 낮추는 데는 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역 – 버번은 미국 어디서나 만들 수 있습니다. 켄터키 주에서 생산된 위스키만 켄터키 스트레이트 버번위스키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종류
전통적인 버번위스키
-놉크릭 Knob Creek (호밀 함유량. 30%)
-짐빔 Jim Beam
-와일드 터키 Wild Turkey
-에반 윌리암스 Evan Williams
High-Rye Bourbons (하이 라이 버본, 라이 함유량이 높은 버번위스키)
호밀은 버번위스키에서 많이 사용되는 두 번째 곡물로, 위스키의 특성은 드라이하고 스파이시하며 , 후추 같은 맛을 더합니다. 호밀 함량이 높은 버번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질 헤이든스 Basil Hayden’s
-불릿 Bulleit
-버팔로 트레이스 Buffalo Trace
-이글 레어 Eagle Rare
-조지 T 스테그 George T. Stagg
-올드 포레스터 Old Forester
-올드 그랜드 대드 Old Grand-Dad
-우드포드 리저브 Woodford Reserve
-포 로지스 싱글 배럴 Four Roses Single Barrel
High-Wheat Bourbons( 하이 위트 버본, 밀 함류량이 높은 버본 위스키)
밀은 우아함과 부드럽고, 매끄러운 특징을 더하며, 약간의 견과류와 계피를 포함합니다. 밀 함유량이 높은 위스키는 다음과 같습니다.
-메이커스 마크 Maker’s Mark
-올드 피츠 제럴드 Old Fitzgerald
-올드 립 밴 윙클 or 패피 밴 윙클 Old Rip Van Winkle, or Pappy Van Winkle
-레벨 옐 Rebel Yell
-WL 웰러 WL Weller
버번위스키는 다른 면에서도 일반 위스키와 구별됩니다.
-버번은 부피 기준으로 80% 이하의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버번은 62.5% abv (알코올도수) 이하로 새까맣게 그을린 화이트 오크에 숙성을 해야 합니다.
-버번은 40% abv(알코올도수) 이상으로 병입 되어야 합니다.
-버번은 물로만 맛을 냅니다. 이내용은 잭 다니엘이 버번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숙성 기간이 4년 미만이면 버번은 라벨에 숙성기간을 명시해야 합니다.
'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네디언(캐나다) 위스키는 무엇일까? (0) | 2023.08.20 |
---|---|
위스키 알고 마시면 더 맛있어진다 위스키 용어정리 (0) | 2023.08.17 |
아이리쉬 위스키 란 무엇일까? (0) | 2023.08.13 |
블렌디드 위스키가 무엇일까? (0) | 2023.08.11 |
싱글 그레인 위스키란 무엇일까? (0) | 2023.08.09 |